카테고리 없음
작곡가 강은수의 즐거운 편지
공진성
2009. 4. 24. 11:23
2009년 4월 22일 수요일 저녁에 작곡가 강은수 선생님의 작곡 발표회에 다녀왔습니다. 세종 체임버홀에서 열렸습니다. 작년에 그곳 무대 뒷편의 좁은 대기실에서 옹기종기 모여서 모니터를 지켜보며 우리 차례를 기다리던 일이 생각났습니다. 이번엔 관객의 입장에서 마음 편하게 연주를 즐길 수 있어서 좋았습니다.
부지런한 음마 단원들이 로비 중앙에 모여 있었습니다. 단체할인, 가족할인을 받아서 50% 할인된 가격, 거금 1만원을 주고서 입장권을 구입했습니다. "꽃보다 표", 화환을 가져오는 대신에 표를 사 달라는 강은수 선생님의 말씀에 충실한 우리 단원들과 달리, 로비에는 크고 작은 화분들이 제 각기 보낸이의 이름이 적힌 리본을 달고서 늘어서 있었습니다. 그 분들도 물론 표는 사셨겠지요?
이미 두 차례의 식사 초대로 친근감마저 느껴지는 강은수 선생님의 부군은 손님 맞이에 바쁘셨습니다. 물론 그날의 주인공 강은수 선생님도 다국적 손님들을 맞이하시느라 분주하셨죠.
우리 합창단에서는 20여 명의 단원들이 강은수 선생님의 곡을 듣기 위해, 그리고 7월 5일에 우리의 노래가 과연 청중에게 어떻게 들릴까 알아보기 위해 모였습니다.
연주 내내 제 머리 속을 맴돌았던 생각은 '표현'에 관한 것이었습니다. 작곡가는 과연 무엇을 표현하고 싶은 걸까? 시가 표현하고 있는 '시각 이미지'를 '청각 이미지'로 옮기고 있는 걸까? 청중이 다시 그 '청각 이미지'를 듣고서 '시각 이미지'를 떠올리기를 바랄까? 아니면 그저 청각적으로 그 어떤 것을 느끼면 충분한 걸까? 가야금 연주는 쉽게 '시각->청각->시각'화할 수 있었지만, 대금 연주는 조금 어려웠습니다. 성악곡도 한국어 성악곡과 독일어 성악곡이 드러내는 청각적 효과가 조금 다르게 느껴졌습니다. 외국어로 부를 때 훨씬 더 '사운드' 자체로 느껴졌다고 할까요?
연주가 끝나고 나서 우리는 모든 청중들이 강은수 선생님과 인증샷을 찍는 모습을 다 지켜보면서 강은수 선생님이 온전히 우리들만의 것이 될 때를 기다렸습니다. 그날의 프로그램에 실린 정기연주회 광고를 마치 프로그램의 원래 표지인 듯 자랑스럽게 내보이며 사진 한 장, 그리고 우리를 찾아오신 강은수 선생님과는 제대로 된 표지를 내보이며 사진 한 장을 찍었습니다. 그리고 우리들은 '고전적' 레파토리 순대국과 소주로 현대음악의 팽팽한 긴장감에 지친 우리들의 신경을 달래주었습니다. (음마/공진성)
(연주와 관련해서, 그리고 강은수 선생님의 작품세계에 관해서는 다음달에 '무식해서 용감한' 인터뷰를 통해서 좀 더 자세히 알려드리겠습니다.)